결국 폐업하는 공인중계사들
최근 들어 부동산 중개업소 개업 건수가 급격히 줄어들고 있다.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 기준 전국 주택 매매 거래량은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약 21% 감소했다고 한다.
정부의 고강도 규제 정책 여파로 집값 상승세가 꺾이면서 거래 절벽 현상이 나타난 탓이다.
상황이 이렇다 보니 기존 업소들마저 줄줄이 문을 닫고 있다.
실제 서울시부동산정보광장에 따르면 올 상반기 서울 지역 아파트 전월세 거래량은 12만 8,000건으로
전년 동기 대비 13% 줄었다.
하지만 새로 등록한 중개업소는 1,718곳으로 작년 동기에 비해 절반 수준에 그쳤다.
이대로라면 조만간 전체 중개업소 가운데 30% 정도가 사라질 거라는 전망까지 나오고 있다.
물론 모든 업종이 다 그런 건 아니지만 유독 부동산중개업계만큼은 불황의 늪에서 헤어나오지 못하고 있다.
도대체 무슨 일이 벌어지고 있는 걸까? 전문가들은 과도한 경쟁 구조를 첫 번째 원인으로 꼽는다.
현재 영업 중인 업체 수만 해도 무려 9만 개에 달하는데 이중 90% 이상이 개인사업자라고 한다.
게다가 자격증 취득 후 별다른 준비 없이 뛰어든 초보 사장님들이 대다수라 치열한 경쟁 속에서 살아남기가 쉽지 않다.
엎친 데 덮친 격으로 수수료 인하 압박까지 받고 있으니 설상가상이다.
오죽하면 업계 관계자들끼리 우스갯소리로 "요즘엔 집 팔아도 남는 게 없다"고 말할 정도다.
올해 초 정부가 부동산 중개 수수료 인하 방안을 발표하자 공인중개사 업계가 크게 반발했다.
가뜩이나 거래 절벽으로 수입이 줄어든 상황에서 일방적인 희생을 강요한다는 입장이었다.
그러자 국토교통부는 6억원 이상 매매 시 기존 0.9% 이내 협의 요율을 0.5% 이내로 낮추는 개선안을 내놓았다.
당초 예상됐던 최대 절반 수준보다는 다소 완화된 수치였지만 여전히 부담스러운 금액이라는 반응이 지배적이었다.
물론 일부에서는 이번 조치로 인해 집값 상승분이 고스란히 소비자에게 전가될 것이라며 우려하기도 했다.
어쨌든 우여곡절 끝에 개정안이 시행되었고 이제 본격적인 시험대에 오르게 됐다. 일단 초반 분위기는 나쁘지 않다.
서울 아파트 거래량이 예년 수준을 회복했고 가격도 상승세를 보이고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향후 추이를 좀 더 지켜봐야겠지만 적어도 지금까지는 긍정적인 신호탄을 쏘아 올린 셈이다.
다만 아직 안심하기엔 이르다.
코로나19 사태 장기화로 인한 경제 위기가 지속되고 있는데다
금리인상 및 대출 규제 강화 등 악재가 산적해있기 때문이다.
만약 현재의 흐름이 계속된다면 머지않아 또다시 침체기에 접어들지도 모른다.
부디 아무쪼록 모두가 상생할 수 있는 합리적인 대안이 마련되길 바랄 뿐이다.
'KOREA NEWS TIME!' 카테고리의 다른 글
YG엔터테인먼트 대표 '양현석'에게 징역 3년을 구형 (0) | 2022.11.14 |
---|---|
김건희 여사 순방사진 '화들짝' (0) | 2022.11.14 |
2022년 세계 육상 다이아몬드리그, 높이뛰기 우승 '우상혁' 대한민국 최초 (0) | 2022.07.19 |
BTS Agency, foreigners' Korean textbook "Talk! with BTS". (0) | 2021.12.10 |
BTS, "People's Choice Awards" won three times! (0) | 2021.12.09 |
댓글